조명희의 낙동강 레포트
조명희의 낙동강
프로문학의 한계를 설명했습니다. 조명희의낙동강
Ⅰ.문제의 제기
Ⅱ.한국문학의 시대적 흐름
1.개화기
2. 근대문학도입
3. 30년대 문학과 모더니티
4.프로문학이란
Ⅲ.한국 프로문학의 태동 배경과
1.문제의 제기
2.민족독립운동의 좌절
3.자본가계급과 일제의 식민수탈에 대한 분노
4.러시아의 혁명성공과 당시의 국제적 유행
Ⅳ.조명희의 낙동강을 통해 본 1920년대후반 프로소설의 주요특징
1.조명희와 KAPF
2.낙동강이란 작품은
3.민족적 사회주의
4.구체적 해결방안의 제시
5.하층민의 혁명의 주동자로의 역활
6.실패로 끝나는 혁명
7.참여적 문학
Ⅴ.프로문학의 한계
1.일제의 대대적 탄압
2.참여문학의 한계
3.민족적 사회주의의 한계
4.민족진영과의 갈등
Ⅵ.결 론Ⅱ.한국문학의 시대적 흐름
한국 프로문학을 분석하기 이전에 그렇다면 당시 한국문학의 일반적인 역사적 흐름은 어떠했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현대 문학은 금세기 초에 전개된 신문학(新文學)운동으로부터 8 ·15광복을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생성된 문학을 지칭한다. 1894년의 갑오개혁을 경계로 한반도에는 위로는 정치제도에서부터 아래로는 일반 생활양식에 이르기까지 모든 면에서 서양의 선진 문화를 뒤따르려는 근대적인 운동이 크게 일어났다. 이 신기운을 개화기(開化期)라는 이름으로 부르는데 한국의 신문학운동도 이 개화기의 한 산물이다.
1.개화기
개화기의 문학은 번역 ·창가 ·신소설의 세 가지 형태로 집약할 수 있다. 번역은 성서(聖書)와 찬송가의 번역과 함께 J.버니언의 《천로역정(天路歷程)》 번역(1895)이 있었고 이어 일본을 통한 중역의 형식으로 이루어진 조중환(趙重桓)의 《장한몽(長恨夢)》, 이상협(李相協)의 《해왕성(海王星)》 등이 나왔는데 이것은 한국 근대문학 발생에 있어 서구문학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말해주는 것들이다. 창가는 1890년대 후반에 《독립신문》의 발간과 함께 나타났는데, 이용우의 《애국가》, 이중원의 《동심가》 등 독립사상을 고취하는 내용이 중추를 이루었다. 창가는 그 뒤 7 ·5조, 8 ·5조 등의 가사 형태로 발전, 최남선(崔南善)의 《해(海)에게서 소년(少年)에게》라는 신체시(新體詩)를 낳았다. 신소설의 첫 대표작으로 꼽히는 이인직(李仁稙)의 《혈(血)의 누(淚)》는 1906년에 《만세보(萬歲報)》에 발표되었으며, 이어 같은 작가의 《귀(鬼)의 성(聲)》(1907), 이해조(李海朝)의 《빈상설(上雪)》(1908) 《자유종(自由鐘)》(1910), 최찬식(崔瓚植)의 《추월색(秋月色)》(1912) 등이 나왔는데 이들 작품의 주제는 자주독립, 근대적 민주사상, 신교육사상, 기성인습의 비판, 미신타파 등의 근대적 내용을 담았으나 권선징악, 인물의 정형성(定型性), 인위적인 종말 등의 요소는 고대소설과 큰 차이가 없었다. 이어서 나타난 춘원 이광수(李光洙)는 근대소설의 시초라 할 장편소설 《무정(無情)》을 발표하고 계속해서 《개척자(開拓者)》 등을 발표하였다. 이들 작품은 개화기 소설의 연장선상에 놓여 있지만 일상어에 의한 산문문장과 작품 구조의 확립, 장편소설의 가능성 등에서 문제가 된 작품으로 평가된다.
2. 근대문학도입
1920년대는 한국의 신문학운동에 있어 개화기라고 할 수 있다. 말하자면 한국문학 근대화의 한 고비가 되는 셈이다. 물론 문학의 근대화라면 우선 그 환경이 문제가 되고 민족적인 독립국가라는 큰 전제가 필요하지만, 한국 신문학의 경우 10년에 국권피탈로 인하여 근대화의 환경으로서는 불모지라고 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그런 속에서도 신문학운동은 전개되어 19세기의 근대문학 사조인 낭만주의 ·자연주의 ·상징주의 등이 들어와서 문예사조를 형성하였다.
자료출처 : http://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xid=a&kid=b&pk=16114725&sid=leesk55&key=
[문서정보]
문서분량 : 10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조명희의 낙동강
파일이름 : 조명희의 낙동강.hwp
키워드 : 조명희의,낙동강
자료No(pk) : 16114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