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 업로드 유체역학 실험 - 위어 실험 Up

 자연과학 업로드 유체역학 실험 - 위어 실험 Up




자연과학 업로드 유체역학 실험 - 위어 실험

[자연과학] 유체역학 실험 - 위어 실험


-목 차-
1.서론
1-1실험목적
1-2이론적배경
2.본론
2-1실험방법
3.결론
3-1 결과표 및 그래프
3-2 결론 및 고찰
4.후기
5.참고문헌

1.서론
1-1 실험목적

수리 실험대를 삼각위어를 설치하여 이것을 이용하여 유량을 측정하고 측정값(Q)과 이론적으로 계산된 유량값(Q`)을 이용해서 측정 유량계수값을 구한다. 이론적으로 계산되어진 유량계수값(C`)과 측정된 유량계수값(C)을 비교하여 이론값이 맞는지 알아본다. 위어의 월류 수심(H)과 유량(Q)과의 관계도 알아본다.

1-2 이론적배경

위어(weir)란
-수로도중에서 흐름을 막아 이것을 넘치게 하여 물을 낙하시켜 유량을 측정하는 장치.
한 번의 수심계측으로 개수로의 유량을 결정할 수 있는 편리한 장치이다. 위어의 일부를 절단하여 유체를 흘러가도록 할 때 절치한 부분을 ‘노치’라고 한다. 노치의 모양에 따라 사각형 위어, 사다리꼴 위어, 삼각형 위어가 있는데 이번 실험에서는 삼각위어를 사용하게 된다.

` (a)사각위어, (b)삼각위어, (c)사다리꼴 위어 `

삼각 위어 유량의 방정식 유도
위어 위로 월류하는 흐름의 한 유선을 따라 접근수로부의 점M 과 N에 있어서의 단위무게의 물이 가지는 에너의 방정식을 수립하면(베르누이 방정식)

(식1)

식(1)은 마찰로 인한 에너지의 손실을 무시한 것으며 접근유속 ()은 거의 무시할 수 있고 위어 단면에서의 압력()은 대기압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식(2)
따라서, 식(3)
삼각형 위어 위로 월류하는 유량은 그림의 미소면적에 점유석()을 곱하여 흐름단면 전체에 걸쳐 적분함으로써 얻어진다. 점 N에 있어서의 미소면적은
(식4)
(식5)
식 (5)는 삼각형 위어 위로 에너지 손실 없이 흐르는 평행류에 대한 이론적인 유량공식이나 실제로는 월류 수맥이 수평 및 연직면상에서 크게 수축되므로 실제유량은 식(5)에 의한 것보다 작으므로 유량계수 을 곱해 주어야 한다.
유량계수 의 크기는 실험으로부터 얻은 Q-H 의 관계로부터 구할 수 있는데, 이는 통상 식(5)를 다음식의 형태로 표시한다.
식(6)
식(6)은 Q와 H간의 멱함수 관계를 표시하여 전대수치상에서 두 변량은 직선적인 관계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실험자료 분석으로부터 식(5)와 식(6)을 비교함으로써 을 결정하게 된다.

2.본론
2-1 실험방법

수리실험대 사양
크 기 : 1.2(W) 0.9(H) 0.7(D)m
개 수 로 : 0.2(W) 0.2(H) 0.7(D)m
저 수 조 : 170 liters
계량수조 : 44 liters
웨 어 : 삼각웨어
재 질 : SUS, BS 등...
전 원 : AC 220V, 0.4KW
실험순서
(1)실험장치설치
1. 3,4,5,8,15 조절 밸브를 완전히 닫는다. (단, 5 Bypass V/V는 조금만 open한다)
2. 저수조(14)에 물을 채운다. (4/5정도)
3. 펌프모터와 접지단자를 깊이 1m이상 묻힌 동판에 연결시키고 실험장치를 실험대 위에 설치한다

(2)실험방법
1. 전원을 AC 220V, 60Hz(소비전력 약 400watt)에 연결한다.
2. 컨트롤 판넬의 전원스위치(6)를 ON한다.
3. 유량조절밸브(5) 또는 (8)을 서서히 조절하여, Weir Tank쪽 또는 (8-1)쪽의 수리실험대에 설치된 실험 장치에 물을 공급하면 된다.

4. 삼각위어를 넘을 정도로 유량 밸브를 조절한다.
5. 월류 수심이 일정해지면, 이때의 월류 수심을 읽는다.



6. 계량 수조의 높이가 일정 높이가 되면 스탑워치를 눌러 시간을 잰다.
7.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계량 수조의 물의 높이를 읽고, 기록한다.


8. 계량수조의 수심이 깊어지면 drain cock를 열어서 계량수조의 물을 뺀 후, 유량을 바꾸지 않고 동일한



자료출처 : http://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xid=a&kid=b&pk=15031841&sid=leesk55&key=



[문서정보]

문서분량 : 9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자연과학 업로드 유체역학 실험 - 위어 실험
파일이름 : [자연과학] 유체역학 실험 - 위어 실험.hwp
키워드 : 자연과학,유체역학,실험,위어,업로드
자료No(pk) : 15031841

자연과학 자료 화학실험 자료 화학평형-르샤틀리에의 원리 보고서

 자연과학 자료 화학실험 자료 화학평형-르샤틀리에의 원리 보고서




자연과학 자료 화학실험 자료 화학평형-르샤틀리에의 원리

[자연과학][화학실험] 화학평형-르샤틀리에의 원리


[화학실험] 화학평형-르샤틀리에의 원리

1. Abstract & Introduction

정반응과 역반응이 동시에 진행되는 가역반응은 궁극적으로 평형에 이르게 되며, 평형의 위치는 농도온도압력 등 반응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이 실험에서는 반응조건이 평형의 위치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르샤틀리에의 원리를 확인하고자 한다.

어떤 반응들은 반응조건들을 변화시킴으로써 정반응과 역반응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진행시킬 수 있다. 예컨대 화학량론적으로 혼합한 수은과 산소를 300℃로 가열하면, 두 반응물들은 다 없어지고 생성물인 산화수은(II)만 남는다. 거꾸로 산화수은(II)을 약 600℃ 정도로 가열하면 수은과 산소가 다시 생성된다. 따라서 이 두 반응들은 넓은 의미에서 가역반응이라고 할 수 있으나 반응이 완결된다는 점에서 흔히 이야기하는 가역반응과는 다르다.
진정한 의미에서의 가역반응이란 정반응과 역반응이 동시에 진행되는 것이다.
반응물들만 섞어 반...[화학실험] 화학평형-르샤틀리에의 원리

1. Abstract & Introduction

정반응과 역반응이 동시에 진행되는 가역반응은 궁극적으로 평형에 이르게 되며, 평형의 위치는 농도온도압력 등 반응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이 실험에서는 반응조건이 평형의 위치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르샤틀리에의 원리를 확인하고자 한다.

어떤 반응들은 반응조건들을 변화시킴으로써 정반응과 역반응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진행시킬 수 있다. 예컨대 화학량론적으로 혼합한 수은과 산소를 300℃로 가열하면, 두 반응물들은 다 없어지고 생성물인 산화수은(II)만 남는다. 거꾸로 산화수은(II)을 약 600℃ 정도로 가열하면 수은과 산소가 다시 생성된다. 따라서 이 두 반응들은 넓은 의미에서 가역반응이라고 할 수 있으나 반응이 완결된다는 점에서 흔히 이야기하는 가역반응과는 다르다.
진정한 의미에서의 가역반응이란 정반응과 역반응이 동시에 진행되는 것이다.
반응물들만 섞어 반응을 진행시킨다고 가정하면, 반응 초기에는 주로 정반응이 진행되나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생성물의 농도가 커지므로 시간이 지날수록 역반응 진행속도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어느 시점에 이르면 정반응 속도와 역반응 속도가 같아져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에 더 이상의 변화가 없게 되어 겉보기로는 반응이 끝난 것처럼 보이게 되며, 이 때 반응은 평형에 도달하였다고 얘기한다. 그러나 평형상태에서도 반응이 완전히 정지한 것은 아니고 정반응과 역반응은 계속 진행하고 있으며, 다만 그 속도가 같아 외견상 농도의 변화가 없는 것 뿐이므로 반응은 동적평형을 이루는 것이다.
가역반응에 대해서는 반응조건을 변화시킴으로써 평형의 위치를 반응물 또는 생성물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 때 평형의 이동방향은 르샤틀리에의 원리로 설명할 수 있는데, 이 원리에 의하면 동적평형을 이루고 있는 반응계에 농도온도압력 등 반응조건을 변화시키면 반응계는 가능한 이 변화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평형을 이동시킨다.

2. Data & Results
1) 실험1: 농도의 영향

시험관
색변화
Fe(CNS)3의 농도변화
평형의 이동방향
2
-` 붉은색
증가
정반응
3
-` 붉은색
증가
정반응
4
-` 노란색
감소
역반응
2) 실험2: 압력의 효과

압력변화
색변화
평형의 이동방향
감압
-` 붉은색
정반응
3. Discussion
화학반응에서 반응의 결과로 생기는 생성물이 어떤 경우에도 다시 반응하여 원래의 반응물로 복귀하지 않는 반응을 비가역반응(irreversible reaction)이라고 한다. 이와 반대로 화학반응 중에 정반응과 역반응이 동시에 진행되는 반응을 가역반응(reversible reaction)이라고 한다. 이들과는 다른 특이한 반응으로 조건에 따라 정반응 혹은 역반응으로 반응이 완결되는 반응이 있다. 이 반응은 넓은 의미에서 가역반응으로 볼 수도 있으나 반응이 완결된다는 점에서 진정한 의미의 가역반응은 아니다. 정반응과 역반응이 동시에 진행되는 가역반응의 경우에는 초기에는 정반응의 속도가 빠르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역반응의 속도가 커져서 일정 시간이 흐른 뒤에는 정반응과 역반응의 속도가 같아져서 겉보기에 변화가 없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데 이 때를 화학반응이 평형(equilibrium)에 이르렀다고 한다. 이 때의 평형은 동적평형으로서 실제로는 반응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는 상태이다.
이번에 행한 두가지 실험은 모두 가역반응으로 평형상태가 존재하며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에 변화를 줌으로써 평형을 이동시킬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평형상수의 표기는 평형상태의 반응물들의 분압이나 농도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질소와 수소가 반응하여 암모니아를 생성하는 반응에서의 평형상수는 각각 기체들의 분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용액간의 반응에서는 분압과 비슷한 개념으로 농도를 사용한다. 예



자료출처 : http://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xid=a&kid=b&pk=11079183&sid=leesk55&key=



[문서정보]

문서분량 : 4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자연과학 자료 화학실험 자료 화학평형-르샤틀리에의 원리
파일이름 : [자연과학][화학실험] 화학평형-르샤틀리에의 원리.hwp
키워드 : 자연과학,화학실험,화학평형,르샤틀리,원리,자료,르샤틀리에의
자료No(pk) : 11079183

자연과학 업로드 실험보고서 - 선운동량 보존법칙 Report

 자연과학 업로드 실험보고서 - 선운동량 보존법칙 Report




자연과학 업로드 실험보고서 - 선운동량 보존법칙

[자연과학]실험보고서 - 선운동량 보존법칙



선운동량 보존법칙

1. 목적
두 개의 쇠공을 충돌시켜 충돌 전후의 속력을 측정함으로써 충돌 전후의 선운동량을 비교하여 선운동량 보존법칙을 이해한다.

2. 기구
2차원 충돌장치, 질량이 같은 쇠공 2개, 수직기, 클램프, 갱지와 먹지, 자와 각도기, Vernier Caliper

3. 이론
정지하고 있는 질량 인 입자에 질량 인 입자가 속도 으로 충돌하면 이 두 입자는 충돌 후 다음과 같이 운동한다.

이 충돌에서 외력은 0이므로 선운동량은 보존된다. 즉,

(1)

이다. 식 (1)을 입사방향을 축, 이와 직각방향을 축으로 하는 좌표계에서 성분으로 표시하면
(2)

이다. 또 이 충돌이 탄성충돌이라면 충돌 전후의 계의 운동에너지가 보존되어야 하므로

(3)

이다.
만약, 입사입자 과 표적입자 의 질량이 같다면( = ) 식 (3)은

(4)

이 되어, 충돌 후 두 입자의 진행방향은 직각을 이루게 된다. 즉,

(5)

이다.
4. 방법
a) 2차원 충돌장치를 실험대 끝에 클램프로 고정하고, 수직기, 갱지 놓고 장치한다.
b) 질량이 같은 두 개의 쇠공을 준비하여 하나는 표적구로, 또 하나는 입사구로 사용한다.
c) 표적구 없이 입사구를 일정한 높이의 기준점에서 굴러내려 떨어진 장소와 수직기 끝점이 지시하는 지점과의 수평거리를 를 5회 측정하여 평균을 구한다.

d) 입사구가 낙하한 수직거리 를 구한다.
e) 과정 c), d)의 측정값으로써 입사구의 속력 을 구한다.
f) 표적구를 입사구와 약 40°의 각을 유지하도록 올려 놓고, 과정 c)에서 정해논 기준점에서 입사구를 굴러내려 충돌시킨 후 두 공이 떨어진 지점의 수평거리 과 , 입사방향과 이루는 각 과 를 측정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5회 반복하여 평균을 구한다. 이 때 벡터의 시작점은 아래 그림을 참고로 하여 정해야 한다.
g) 표적구와 입사구의 각을 약 55°, 70°로 놓고 과정 f)를 반복한다.
h) , , 및 로부터 충돌 후 입사구와 표적구의 속도 와 를 계산한다.
I) 입사구와 표적구의 질량과 반경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5. 계산과정
`측정값`

입사구
질량
8.45g
반경 r
6.75
표적구
질량
8.45g
반경
6.75
수직낙하거리

0.85m

측정횟수
실험항목
1
2
3
4
5
평균
충돌 전 입사구 수평거리
0.56
0.56
0.56
0.56
0.56
0.56
충돌 후 입사구 수평거리
0.432
0.435
0.438
0.429
0.44
0.4348
충돌 후 입사구 각
48
50
51
53
49
50.2
충돌 후 표적구 수평거리
0.314
0.315
0.316
0.30
0.312
0.3114
충돌 후 표적구 각
41
40
42
40
43
41.2
`실험값 계산`
a) 충돌 전 입사구속력



b) 충돌 후 입사구, 표적구 속력






× 100

6. 결론 및 고찰
`결과`
금속구 2개를 굴려 측정값을 기록하여 이론상으로 주어진 식에 대입하여 이론상의의 속력의 값과 실험에서 구한 속력의 값을 비교하였다.
이론상으로 주어진 식을 이용해 구한 값과, 실험에서 구한 값에서 오차가 발생했다.



자료출처 : http://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xid=a&kid=b&pk=11074086&sid=leesk55&key=



[문서정보]

문서분량 : 4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자연과학 업로드 실험보고서 - 선운동량 보존법칙
파일이름 : [자연과학]실험보고서 - 선운동량 보존법칙.hwp
키워드 : 자연과학,실험,선운동량,보존법칙,업로드,실험보고서
자료No(pk) : 11074086

실험10결과보고서. 연산 증폭기 특성 Report

 실험10결과보고서. 연산 증폭기 특성 Report




실험10결과보고서. 연산 증폭기 특성

실험10결과보고서. 연산 증폭기 특성



실험회로 10. 연산 증폭기 특성
`결과보고서`

Ⅰ. 실험 목적
1) 연산증폭기의 이득은 출력단에서 입력단으로의 외부 부귀환 루프에 의해 결정됨을 실험으로 확인한다.
2) 비반전 증폭기와 반전 가산기를 연산증폭기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Ⅱ. 실험 결과 및 분석

1.연산 증폭기의 이득

R_F
R_R
V_p-p
이득
위상
출력
입력
10000
100
14.4
210m
68.57

1,000
14
1.44
9.22

10,000
14.2
13.69
1.037
180
100K
2.12
20
0.106

200K
1.06
20
0.053

1000K
216m
20
0.0108

이 실험은 연산증폭기의 입력단자에 달려있는 저항 의 크기를 변화시켰을때 전압이득을 관찰하는 실험이었다. 실험 결과를 보면 전압이득은 과 의 비에 따라 변하게 되었고 위상은 반대였다.

X
왼쪽그림을 보자. 먼저 키르히호프 전류 법칙을 적용하면
이다. 이므로
, 가 된다. 즉 출력 파형은 입력파형의 180도 위상이 변한 반대 극성이 나타나고 가된다.(이실험에서 )
실험결과는 위에서 유도한 와 같은 결과가 나왔다.

2.비반전 증폭기

R_F
R_R
V_p-p
이득
위상 차
출력
입력
10000
100
13.6
132m
103.03

1,000
11.2
1
11.2

10,000
14.4
7
2.057

100K
14.4
12.7
1.134

200K
14
12.9
1.085

1000K
14.4
13.9
1.036


이 실험은 비반전 증폭기의 입력단자에 달려있는 저항 의 크기를 변화시켰을 때 전압이득을 관찰하는 실험이었다.

X
왼쪽 그림을 보자.
이다.
이므로
, 이 된다. 즉 출력파형의 위상 및 극성은 입력파형과 같으며
이 된다.
비반전 가산기의 실험결과 이론적으로 알고 있는 와 비교적 작은 오차를 같는 결과를 가졌다.

3.출력 옵셋 전압


Vout
Vin
시뮬레이션
-14.816
0.2
실험결과
1.31
0.0015

-시뮬레이션 회로- -시뮬레이션, 실험 결과-
이 실험은 Op-amp의 output offset 전압을 측정하는 실험이다. 측정한 세 개의 값의 평균값을 사용했다. 출력 옵셋 전압은 연산기 내부에 있는 차동입력단에서 불가피하게 나타나는 제조공정상의 부정합의 결과로 발생한다. (때로는 온도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실험에 사용된 회로는 gain이 1000인 증폭 회로 이므로 측정된 출력 전압과 입력 전압 사이에 의 관계를 가진다. 이론과 비교해 봤을 때 실험 결과는 어느 정도의 오차를 생각한다면 정확한 결과이다.
이 offset 전압 또한 회로의 부정확성을 초래하므로 엄밀한 측정이 필요한 실험에서는 +입력단자에 offset 전압을 상쇄 시킬 전압을 걸어서 0으로 맞춰 준다.

4.슬루율


ΔV
ΔT
SR
741C
2V
0.1m
20000
결과
0.55
25us
22000

-시뮬레이션 회로- -시뮬레이션 결과-
슬루율은 출력 전압이 변할 수 있는 최대 최대 속도로 정의 하고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슬루율은 주파수가 높은 입력 신호에 대해 비선형 왜곡을 일으킨다.) 결과값은 측정한 세 개의 값의 평균값을 사용했다.

실제 실험은 출력에서 saturation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사각파를 입력으로 넣어주고 출력전압까지 올라가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값을 보면 시뮬레이션 결과와 10% 정도의 오차가 났다. 실제 회로에서 주파수가 커짐에 따라 dalay time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 질문 ]
1. 연산 증폭기의 최대 무 왜곡 정현파 출력 전압은 증폭기 이득에 따라 변하는가
아니다. 연산증폭기의 최대 무 왜곡 정현파 출력은 바이어스로 주는 및 에 따라 변한다. 증폭기가 최대로 증폭해 줄 수 있는 양의 한계전압이 이고 음의 한계 전압이 이다.

2. 출력과 입력 전압의 극성 사이에 상관 관계가 있는가
반전증폭기의 경우 출력파형은 입력파형의 180도 위상이 변한 극성이 나타났다. 비반전증폭기의 경우 출력파형과 입력파형의 위상이 같은 극성이 나타났다. 이는 이론적으로 알고있는 (반전증폭기), (비반전증폭기)를 통하여도 알수 있고, 실험결과를 통해서도 확인 할 수 있었다.

3. 반전 증폭기의 실험적 이득과 RF, RR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다. 즉, 두 저항의 비에 비례하여 입력 전압이 출력 전압으로 증폭된다. 이는 위의 반전 증폭기의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4. 연산 증폭기의 슬루율이 2V/㎲라 할 때, 만일 대신호 입력이 연산 증폭기를 구동한다면, 출력이 10V에서 +10V까지 변하는 데에는 얼마의 시간이 소요되는가
10㎲



자료출처 : http://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xid=a&kid=b&pk=16214343&sid=leesk55&key=



[문서정보]

문서분량 : 10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실험10결과보고서. 연산 증폭기 특성
파일이름 : 실험10결과보고서. 연산 증폭기 특성.hwp
키워드 : 실험,연산,증폭기,특성,실험10결과보고서
자료No(pk) : 16214343

막대의 Young률 측정 (Ewing 장치) (예비 실험) Down

 막대의 Young률 측정 (Ewing 장치) (예비 실험) Down




막대의 Young률 측정 (Ewing 장치) (예비 실험)

Ewing 장치를 이용하여 금속 막대의 중심에 추를 달아 휘어지게 한 후, 그 중심점의 강하를 광학지레로 측정하여 금속 막대의 Young률을 계산하는 실험리포트입니다.



1. 실험목적

2. 기구장치

3. 이론 및 원리

4. 실험방법
4.1. 광학 지레형
4.3. micrometer형
4. 실험방법

4.1. 광학 지레형
(1) 평행한 두 받침날 AC,BD 위에 시료막대 AB,보조막대 CD를 나란히 놓고 AB의 중점 O 에 추걸이를 단다.
광학지레 G는 두 발을 CD에, 한 발을 AB에 걸쳐 놓는다.
(2) 약 2m 떨어진 곳에 자가 달린 망원경을 놓고 거울에서 반사해서 생긴 자 의 눈금의 상을 망원경으로 관측한다. 그러기 위해서 우선 망원경의 촛점을 자와 거울과의 거리 L의 2배 되는 곳에 맞추어 놓고 자를 밝게 비추어 거울과 망원경의 각도를 잘 조절하여 자가 망원경을 통해 시야에 들어오게 한다.
(3) 추걸이에 보조추를 2개 정도 올려 놓고 망원경의 십자선에 보이는 눈금 y0를 읽는다.
(4) 추 M1, M2, M3, M4, M5를 차례로 올려 놓으면서 그 때의 눈금 y1, y2, y3, y4, y5를 읽는다. 다음에 추를 차례로 내려 놓으면서 y4`,y3`,y2`,y1`,y0`를 읽는다,yi와 yi`의 평균을 y라 한다.
(5) 거울과 자 사이의 거리를 줄자로 여러 번 측정하여 그 평균을 D이라 한다.
(6) 광학지레를 흰 종이 위에 놓고 살짝 눌러 3발의 자국을 내고 거울면에 평행한 2발을 잇는 직선에 다른 한 발에서 수선을 내려 그 길이를 r이라 하면 추 M1으로 인한 막대의 중심점은 강하δ은

가 된다.
(7) 시료 막대의 폭 a,두께 b를 마이크로미터 또는 버니어캘리퍼로,두 받침날 사이의 간격 l을 줄자로 여러 번 측정하여 평균한다.
(8) 각 추에 대응하는 막대의 중심점 강하를 식(2)에 대입하여 Young률 Y1,Y2,Y3,Y4,Y5를 계산하고 평균하여 시료막대를 구성하는 물질의 Young률 Y를 결정한다.



자료출처 : http://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xid=a&kid=b&pk=16086692&sid=leesk55&key=



[문서정보]

문서분량 : 3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막대의 Young률 측정 (Ewing 장치) (예비 실험)
파일이름 : 막대의 Young률 측정 (Ewing 장치) (예비 실험).hwp
키워드 : 막대의,Young률,측정,Ewing,장치,예비,실험
자료No(pk) : 16086692

고려대 일반화학실험 평형상수의 결정 결과 보고서 등록

 고려대 일반화학실험 평형상수의 결정 결과 보고서 등록




고려대 일반화학실험 평형상수의 결정 결과 보고서

고려대 일반화학실험 평형상수의 결정 결과 보고서


고려대 일반화학실험 평형상수의 결정 결과 보고서고려대 일반화학실험 평형상수의 결정 결과 보고서


자료출처 : http://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xid=a&kid=b&pk=20101702&sid=leesk55&key=



[문서정보]

문서분량 : 4 Page
파일종류 : PDF 파일
자료제목 : 고려대 일반화학실험 평형상수의 결정 결과 보고서
파일이름 : 고려대 일반화학실험 평형상수의 결정 결과 보고서.pdf
키워드 : 고려대,일반화학실험,평형상수의,결정,결과,보고서
자료No(pk) : 20101702

고려대 일반화학실험 지시약의 산 해리 상수 결과 보고서 레포트

 고려대 일반화학실험 지시약의 산 해리 상수 결과 보고서 레포트

 



고려대 일반화학실험 지시약의 산 해리 상수 결과 보고서

고려대 일반화학실험 지시약의 산 해리 상수 결과 보고서


고려대 일반화학실험 지시약의 산 해리 상수 결과 보고서고려대 일반화학실험 지시약의 산 해리 상수 결과 보고서


자료출처 : http://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xid=a&kid=b&pk=20101703&sid=leesk55&key=



[문서정보]

문서분량 : 5 Page
파일종류 : PDF 파일
자료제목 : 고려대 일반화학실험 지시약의 산 해리 상수 결과 보고서
파일이름 : 고려대 일반화학실험 지시약의 산 해리 상수 결과 보고서.pdf
키워드 : 고려대,일반화학실험,지시약의,산,해리,상수,결과,보고서
자료No(pk) : 20101703 

만0세 2학기 부모상담일지 및 교사종합의견 8명 (부모면담일지,부모상담일지,개별면담일지)

  만0세 2학기 부모상담일지 및 교사종합의견 8명 (부모면담일지,부모상담일지,개별면담일지)   2학기상담.hwp 해당 자료는 해피레포트 유료 결제 후 열람 가능하며, 세일즈 링크를 통한 구매시 작성자에게 수수료가 지급됩니다. 분량 : 8 페이지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