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 자료실 철강재료의 열처리에 따른 미세조직 관찰 및 경도시험 보고서

 자연과학 자료실 철강재료의 열처리에 따른 미세조직 관찰 및 경도시험 보고서




자연과학 자료실 철강재료의 열처리에 따른 미세조직 관찰 및 경도시험

[자연과학] 철강재료의 열처리에 따른 미세조직 관찰 및 경도시험


철강재료의 열처리에 따른 미세조직 관찰 및 경도시험

1. 실험목적

철강 금속은 여러 성형공정을 통해서 가공을 한 후에 가공 후 공정을 하게 되는데, 그러한 공정 중 하나가 바로 열처리라고 할 수 있다. 열처리란 금속의 내부조직을 변화시켜서 얻고자 하는 금속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얻기 위해서 상온에서 특정온도까지 가열, 그 온도에서 유지, 상온까지 냉각, 이렇게 3단계로 행하는 가열 및 냉각 과정을 말한다. 냉각, 가열만으로 열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어닐링(Annealing), 퀜칭(Quenching), 템퍼링(Tempering), 시효처리(Aging)가 있다. 철강금속재료의 성질은 기본적으로 화학조성에 기초하여 결정되어 있지만 열처리 방법과 냉각 방법에 따라서 철강 재료의 기계적 성질이 크게 달라진다. 열처리 및 가공 등에 의해서 금속의 내부조직이 변화되는데, 이 내부 조직에 의해서 후차적으로 금속 재료의 성질이 결정된다. 이번 실험은 탄소함량이 0.45wt%(S45C)인 철강 재료를 열처리하고 조직사진을 찍음으로써 철강 재료의 내부 조직이 열처리 조건에 따라 미세조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 및 예측하고 또, 재료의 강도를 분석하여 미세조직과 열처리/ 경도의 상관관계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2. 이론적 배경

(1) 철강재료의 열처리
열처리방법을 크게 구분하면 주조나 단조후의 편석 및 잔류응력 등을 제거하여 균질화시키거나 또는 연화를 목적으로 행하는 풀림(annealing), 결정립을 미세화하여 기계적성질이나 피삭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멀라이징(normalizing), 경화를 위하여 행하는 퀜칭quenching), 그리고 강인화를 위한 템퍼링(tempering) 처리 등으로 나눌 수 있다.또 표면은 내마모성이 크고, 중심부는 내충격성이 큰 이중조직을 나타내게 하는 표면경화(表面硬化, surface hardening)방법도 있다.
- 노멀라이징(normalizing)
철 합금의 경우, 상한 임계 온도 이상에서 오스테나이트화한 후 공기 중에서 냉각하 는 열처리로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① 결정립을 미세화시켜서 어느 정도의 강도증가를 꾀하고, 퀜칭이나 완전풀림을 위 한 재가열시에 균일한 오스테나이트 상태로 만들어주기 위한 것이다. ② 주조품이나 단조품에 존재하는 편석을 제거시켜서 균일한 조직을 만들기 위함이다.
- 퀜칭(Quenching)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열처리란 말은 주로 이 「퀜칭」을 의미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퀜칭은 열처리의 대명사처럼 여겨져 왔다. 즉 강을 연한 상태로부터 가 장 단단한 상태로 급격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열처리효과를 가장 실감나게 해주는 방법이다.
????강의 퀜칭(quenching)은 오스테나이트화 온도로부터 급랭하여 마르텐사이트 조직으 로 변태시켜서 강을 경화하는 열처리방법을 말하는데, 그 목적은 강의 종류에 의해 2가지로 대별된다.?그 하나는 공구강의 경우인데, 이것은 다른 금속재료를 절삭가공
하기 위해 되도록 단단하거나 내마모성이 커야 하므로 고탄소 마르텐사이트의 특징
인 큰 경도를 그대로 이용한다. 따라서 많은 공구강에서는 템퍼링온도를 150∼20 0℃의 비교적 낮은 온도로 하거나, 고합금강에서처럼 500∼600℃로 템퍼링을 하더 라도 퀜징상태와 거의 같든지 혹은 그 이상의 경도가 얻어지도록 하여야 한다.?????다른 하나의 경우는 구조용강으로서, 여기에는 강도도 요구되지만 오히려 강한 인 성이 요구되는 용도로 제공하기 위해 일단 퀜칭해서 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 하고, 500∼700℃의 상당히 높은 온도로 템퍼링을 해서 퀜칭상태에 비해 훨씬 낮은 경도 강도의 상태로 만드는 것이다. 예를 들면 기계구조용 탄소강에서 퀜칭상태의 인장강 도는 170kg/mm2 이상이고, 브리넬경도도 500 이상이지만 실제로 사용될 때에는 충분한 템퍼링을 해서 인장강도 100kg/mm



자료출처 : http://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xid=a&kid=b&pk=11040156&sid=leesk55&key=



[문서정보]

문서분량 : 15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자연과학 자료실 철강재료의 열처리에 따른 미세조직 관찰 및 경도시험
파일이름 : [자연과학] 철강재료의 열처리에 따른 미세조직 관찰 및 경도시험.hwp
키워드 : 자연과학,철강재료의,열처리에,따른,미세조직,관찰,및,경도시험,자료실
자료No(pk) : 11040156

디지털 공학 자료실 15 D 래치 및 D 플립-플롭 예비, 결과보고서 업로드

 디지털 공학 자료실 15 D 래치 및 D 플립-플롭 예비, 결과보고서 업로드




디지털 공학 자료실 15 D 래치 및 D 플립-플롭 예비, 결과보고서

[디지털 공학] 15 D 래치 및 D 플립-플롭 예비, 결과보고서



15 D 래치 및 D 플립-플롭

■ 실험목표
이 실험에서는 다음 사항들에 대한 능력을 습득한다.
래치로 SPDT 스위치의 되튐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한 입증
NAND 게이트와 인버터를 이용한 게이트를 D 래치 구성 및 시험
D 플립-플롭의 테스트 및 래치와 플립-플롭의 몇 가지 응용회로 조사

■사용부품
7486 quad XOR 게이트
7400 quad NAND 게이트
7404 hex 인버터
7474 dual D 플립-플롭
적색 LED
녹색 LED
저항 : 330Ω 2개, 1.0KΩ 2개

관련이론
이제까지 본 바와 같이 조합 논리회로는 출력이 순전히 입력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회로이다. 순차 논리회로는 이전의 상태들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즉 차이는 순차회로를 메모리를 포함하고 있고 조합회로는 그렇지 않다는 점이다.
기본 메모리 단위는 래치(latch)이며, 래치는 어떤 데이터를 잡아들이고 저장하기 위해 피드백(feedback)을 사용한다. 래치는 두 개의 인버터, 두 개의 NAND 게이트 또는 두 개의 NOR 게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전의 상태를 기억하는 능력은 부울 대수로 쉽게 입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림 15-1은 NAND 게이트로 만든 S-R 래치를 보여주고 있다, 이 회로는 스위치의 되튐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는데 널리 사용되며 4개의 래치가 들어있는 IC(74LS279)로 공급되고 있다.
기본 래치의 간단한 변형으로는 그림 15-2에 보인 것과 같이 조종 게이트들과 인버터의 추가를 들 수 있다. 이 회로는 게이티드(gated) D(data 약자) 래치라 불린다. Enable 입력은 Enable이 참일 때 D 입력의 데이터가 출력으로 옮겨지는 것을 허용한다. Enable이 참이 아닐 때에는 마지막 상태 (Q와 Q)가 래치된다. 이 회로는 IC 형태(7475A quad D 래치)로 공급되고 있다. 이 IC에는 4개의 래치가 들어있으나 Enable 신호는 2개만 있어 공유된다.
설계 문제들은 공통 펄스원을 사용하여 시스템 내의 모든 상태 변화가 동기 되어 (동시에)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자주 단순화된다. 이 공통 펄스를 클럭(clock)이라 부른다. 출력의 상태 변화는 항상 클럭 펄스의 상승 또는 하강 에지(edge)에서만 일어난다. 어떤 IC들에는 원할 때는 언제든지 직접 출력을 셋(set) 시키거나 리셋(set) 시킬 수 있는 추가의 입력들이 있다. 클럭 펄스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입력들은 비동기(asynchronous)입력이라고 표기된다. 상승(positive) 에지-트리거 되고 비동기 입력을 갖는 D형 플립-플롭(flip-flop)은 7474이다. 이번 실험에서는 이 IC도 테스트해 볼 것이다.
실험 전에 오실로스코프 타이밍을 검토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아날로그 2-태널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할 경우 올바른 타이밍 관계를 보기 위해서는 비교되는 두 가지 파형 중 늦은 채널에 트리거를 맞추어야 한다. 디지털 오실로스코프 경우에는 어느 채널에 맞추든 상관이 없다.
실험 순서
▶ S-R래치
1. 그림 15-4의 S-R래치를 구성하라. 여기서는 선이 SPDT(single-pole-double-throw) 스위치의 역할을 대신한다. LED는 논리 모터로 사용된다, TTL논리에서는 공급전류보다는 수요전류가 훨씬 크기 때문에 LED 출력이 LOW일 때 ON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LED가 ON되어 있을 때 HIGH 출력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해 LED로 반대 쪽 출력의 상태를 읽는다! 이 간단한 트릭으로 인버터의 사용이 필요 없어진다.
2. 선이 A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LED에 나타난 논리 상태를 적어 놓아라(SPDT 스위치 경우 스위치의 상태를 바꾸는 순간, 접촉 부분은 기계적 반동에 의해 몇 번의 되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제 선의 A 쪽을 분리하여 스위치의 되튐을 모의 실험하라. 아직 선을 B단자에 연결하지는 말아라! 대신 선을 A 단자에 몇 번 접촉시켜라.
S Q



자료출처 : http://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xid=a&kid=b&pk=11082080&sid=leesk55&key=



[문서정보]

문서분량 : 13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디지털 공학 자료실 15 D 래치 및 D 플립-플롭 예비, 결과보고서
파일이름 : [디지털 공학] 15 D 래치 및 D 플립-플롭 예비, 결과보고서.hwp
키워드 : 디지털,공학,D,래치,플립,플롭,예비,자료실,15,및
자료No(pk) : 11082080

자연과학 업로드 실험보고서 업로드 화학 반응 속도 시계반응 업로드 Report

 자연과학 업로드 실험보고서 업로드 화학 반응 속도 시계반응 업로드 Report




자연과학 업로드 실험보고서 업로드 화학 반응 속도 시계반응 업로드

[자연과학] [실험보고서] 화학 반응 속도 [시계반응]


실험 제목; 화학 반응 속도 (시계반응)

1. 실험 목적
반응 물질의 농도를 달리하여 시계반응으로 속도를 측정하고, 반응속도 상수와 반응차수를 구한다.

2. 실험 이론
① 반응 속도
물체의 운동을 나타낼 때 물체가 얼마나 빠르게 이동하고 있는가에 대한 척도로 속도(velocity)를 이용한다. 화학 반응에 대해서도 반응이 얼마나 빠르게 일어나는가에 대한 척도로 반응 속도(reaction rate)를 사용한다.
반응 속도는 평형과는 엄격히 구분되어야 한다. 그래서 화학자들은 반응 속도 측면에서 안정한 물질(즉, 속도론적으로 안정한 물질)과 평형적 측면에서 안정한 물질(즉,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물질)을 구분해서 사용한다.
열역학적으로 안정하지만 분해 속도가 매우 빨라 속도론적으로 불안정해 쉽게 분해되는 물질이 있는 반면,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해도 분해 속도가 매우 느려 속도론적으로 안정하여 오랫동안 그 상태로 남아있는 다이아몬드와 같은 물질도 있다. 그러므로 반응 속도만으로 물질의 안정성을 판단해서는 안된다.
반응 속도는 단위 시간 동안 반응 물질 또는 생성 물질의 농도 변화량으로 정의되며, M/s(mol/L?sec)의 단위를 갖는다. 또한 화학 반응식만으로 반응 속도에 대해서 언급하게 되면 정확히 어떤 물질의 소멸 속도인지 생성 속도인지 의미가 모호해지기 때문에 어떤 물질의 소멸 속도 혹은 생성 속도를 명시해 주는 것이 좋다.


v
t
t


생성물
반응물
정반응
역반응

반응 속도를 생성 물질의 농도 변화량이라고 정의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반응속도 〓 반응 물질 농도의 변화량 〓 생성 물질 농도의 변화량
반응 시간 반응 시간

반응 속도를 측정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반응 속도는 온도에 매우 민감한데, 반응할 때 나오는 반응열 때문에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는 어렵다. 또한 반응 속도는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데, 시간마다 물질의 농도를 측정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엄밀하게 순간적인 반응 속도를 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보통 반응 속도를 측정할 때 여러 가지 근사를 이용하거나 평균적인 값을 이용한다.
- 기체 발생 반응 : 기체가 발생하는 반응은 단위 시간 동안 발생하는 기체의 부피를 측정하거나, 기체 발생으로 인한 단위 시간당 질량의 감소량을 측정하면 반응 속도를 구할 수 있다.

? 부피 측정법
부피 측정법은 염소산칼륨(KClO₃)의 열분해처럼 생성 물질이 기체일 때 주사기나 메스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발생한 기체의 부피를 측정하여 구한다.

반응 속도(mL/s) 〓 발생하는 기체의 부피(mL)
반응 시간(s)

발생한 기체의 부피를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을 이용하여 반응 속도를 몰 수에 관한 식으로 바꿔주면 mol/s의 단위를 가지는 반응 속도를 구할 수 있다.

? 질량 측정법
질량 측정법은 기체가 발생하는 동안에 발생한 기체가 반응 용기를 빠져나가면 감소한 질량이 발생한 기체의 질량과 같으므로 시간에 따른 질량 변화를 측정하여 반응 속도를 구한다.

반응 속도(g/s) 〓 감소한 기체의 질량(g)
반응 시간(s)

이 경우도 부피 측정법과 마찬가지로 질량을 기체의 분자량으로 나누어 주면 mol/s의 단위를 가지는 반응 속도를 구할 수 있다.

- 앙금 생성 반응 : 앙금 생성 반응은 일정량의 앙금이 형성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반응 속도를 구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절대적인 반응 속도값을 얻을 수 없으며 앙금의 색에 따라 개인 차이가 날 수도 있다.

반응 속도(s?¹) 〓 1
반응 시간(s)

② 반응 속도 상수와 반응 차수
반응 aA + bB → C에 대한 C의 생성 속도를 반응 속도로 정



자료출처 : http://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xid=a&kid=b&pk=11056649&sid=leesk55&key=



[문서정보]

문서분량 : 10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자연과학 업로드 실험보고서 업로드 화학 반응 속도 시계반응 업로드
파일이름 : [자연과학] [실험보고서] 화학 반응 속도 [시계반응].hwp
키워드 : 자연과학,실험보고서,화학,반응,속도,시계반응,업로드
자료No(pk) : 11056649

자연과학 업로드 실험보고서 업로드 RLC회로 실험 Up

 자연과학 업로드 실험보고서 업로드 RLC회로 실험 Up




자연과학 업로드 실험보고서 업로드 RLC회로 실험

[자연과학][실험보고서] RLC회로 실험


RLC회로 실험

목 차
1. RLC회로의 배경지식
2. 실험 용어 조사
3. 실험 결과
4. 실험결과 관찰
5. 오차원인 분석
6. 전자가 기계에 필요한 이유

1. RLC회로의 배경지식
(1) 실험 목적
① R-C 직렬 회로의 임피던스, 유도성 리액턴스, 위상각을 이해한다.
② R-L 직렬 회로의 임피던스, 용량성 리액턴스, 위상각을 이해한다.
R-L-C 직렬 회로의 임피던스, 리액턴스, 위상각을 이해한다.
` 그림 1. 회로의 전체적인 구성 `

(2) R-L 직렬회로
저항 [Ω]과 인덕턴스 [H]가 직렬로 접속된 회로에 각 주파수 [rad/s], [V]의 정현파 교류 전압을 인가했을 때 , 에 흐르는 전류를 라 하고, , 양단의 전압을 각각 이라고 하면 다음의 관계가 성립한다.




` 그림 2. RL직렬 회로도 ` ...RLC회로 실험

목 차
1. RLC회로의 배경지식
2. 실험 용어 조사
3. 실험 결과
4. 실험결과 관찰
5. 오차원인 분석
6. 전자가 기계에 필요한 이유

1. RLC회로의 배경지식
(1) 실험 목적
① R-C 직렬 회로의 임피던스, 유도성 리액턴스, 위상각을 이해한다.
② R-L 직렬 회로의 임피던스, 용량성 리액턴스, 위상각을 이해한다.
R-L-C 직렬 회로의 임피던스, 리액턴스, 위상각을 이해한다.
` 그림 1. 회로의 전체적인 구성 `

(2) R-L 직렬회로
저항 [Ω]과 인덕턴스 [H]가 직렬로 접속된 회로에 각 주파수 [rad/s], [V]의 정현파 교류 전압을 인가했을 때 , 에 흐르는 전류를 라 하고, , 양단의 전압을 각각 이라고 하면 다음의 관계가 성립한다.




` 그림 2. RL직렬 회로도 ` ` 그림 3. RL 벡터도 `
여기서 공급전압 는 의 합이므로

〓 〓

가 되고

여기서 를 회로의 임피던스라 하고 전압과 전류와의 위상차 θ는



이 된다. , 의 위상관계를 나타내면 그림 3와 같이 벡터도가 된다. 또한 Z의 절대값은 구하면 아래식과 같다.

(3) R-C 직렬회로
저항 [Ω]과 캐패시턴스 [F]가 직렬로 접속된 회로에 각 주파수 [rad/s], [V]의 정현파 교류 전압을 인가했을 때 , 에 흐르는 전류를 라 하고, , 양단의 전압을 각각 이라고 하면 다음의 관계가 성립한다.


` 그림 4. RC직렬 회로도 ` ` 그림 5. RC 벡터도 `

저항의 전압과 캐패시터의 전압은 ,
위상차 θ는 이 된다.
, 의 위상관계를 나타내면 그림 3와 같이 벡터도가 된다. 또한 Z의 절대값은 구하면 아래식과 같다.



(3) R-L-C 직렬회로
저항 [ Ω ], 인덕턴스 [H], 캐패시턴스 [F]가 직렬 회로에 각 주파수 [rad/s], [V]의 정현과 교류 전압을 정현파 교류 전압을 인가했을 때 R, L, C에 흐르는 전류를 I라 하고 R,C 양단의 전압을 각각 , , 이라고 하면 다음의 관계가 성립한다.





총 리액턴즈는 이고
위상각 θ는 [rad] 로 구할 수 있다.


` 그림 6. R-L-C직렬 회로도 ` ` 그림 7. R-L-C 벡터도 `

1) ωL ` 인 경우 : X ` 0 , θ ` 0 이면 유도성 회로가 되며, 전압은 전류보다 θ만큼 앞선다.
2) ωL ` 인 경우 : X ` 0 , θ ` 0 이면 용량성 회로가 되며, 전압은 전류보다 θ만큼 뒤진다.
3) ωL 〓 인 경우 : X 〓 0 , θ 〓 0 이면 전압과 전류는 동상이 된다.

2. 실험 용어 조사
(1) 콘덴서
콘덴서는 두 도체 사이의 공간에 전기장을 모으는 장치이다. 콘덴서(영어: condenser)나 커패시터(영어: capacitor)로 부르기도 한다. 콘덴서는 보통 두 개의 도체 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사이에 절연체가 들어간다. 여기에서 각 판의 표면과 절연체의 경계 부분에 전하가 비축되고, 양 표면에 모이는 전하량의 크기는 같지만 부호는 반대이다. 콘덴서의 전하량을 Q, 전위차를 V라고 하면 이때 전기용량 C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2) 인덕터
구리나 알루미늄 등을 절연성 재료로 싸서 나사 모양으로 여러 번 감은 코일 가운데 전류의 변화량에 비례해 나타나는 코일이 인덕터이다. 기호는 자기적인 결합을 뜻하는 링키지(linkage)의 머리글자를 따서 L로 표시한다. 전류의 변화량에 비례해 전압을 유도함으로써 전류의 급격한 변화를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회로에 흐르고 있는 전류의 변화에 따라 전자기유



자료출처 : http://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xid=a&kid=b&pk=11078873&sid=leesk55&key=



[문서정보]

문서분량 : 13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자연과학 업로드 실험보고서 업로드 RLC회로 실험
파일이름 : [자연과학][실험보고서] RLC회로 실험.hwp
키워드 : 자연과학,실험,RLC회로,업로드,실험보고서
자료No(pk) : 11078873

공학 다운로드 a++ 다운로드 기초회로실험의 모든 레포트 자료 등록

 공학 다운로드 a++ 다운로드 기초회로실험의 모든 레포트 자료 등록




공학 다운로드 a++ 다운로드 기초회로실험의 모든 레포트 자료

[공학] [a++] 기초회로실험의 모든 레포트 자료






목 차
실험 1 직류-전력 공급기와 멀티미터 작동법
(전압, 전류, 그리고 저항 측정법) 1
실험 2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과 전압 법칙 그리고 옴의 법칙 10
실험 3 저항기들의 직렬, 병렬, 그리고 직-병렬 접속 15
실험 4 전압-분배 및 전류-분배의 공식 20
실험 5 브리지 회로 24
실험 6 중첩의 원리 27
실험 7 테브난 등가 회로 32
실험 8 노튼 등가 회로 37
실험 9 망로 방정식과 마디 방정식 41
실험 10 최대 전력 전달 46
실험 11 오실로스코프와 함수 발생기 작동법 49
실험 12 인덕터 및 커패시터들의 직렬 접속과 병렬 접속 53
실험 13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이용한 전압-분배 회로와 전류-분배 회로 61
실험 14 1차 회로들의 계단 응답 65
실험 1...











목 차


실험 1 직류-전력 공급기와 멀티미터 작동법
(전압, 전류, 그리고 저항 측정법) 1
실험 2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과 전압 법칙 그리고 옴의 법칙 10
실험 3 저항기들의 직렬, 병렬, 그리고 직-병렬 접속 15
실험 4 전압-분배 및 전류-분배의 공식 20
실험 5 브리지 회로 24
실험 6 중첩의 원리 27
실험 7 테브난 등가 회로 32
실험 8 노튼 등가 회로 37
실험 9 망로 방정식과 마디 방정식 41
실험 10 최대 전력 전달 46
실험 11 오실로스코프와 함수 발생기 작동법 49
실험 12 인덕터 및 커패시터들의 직렬 접속과 병렬 접속 53
실험 13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이용한 전압-분배 회로와 전류-분배 회로 61
실험 14 1차 회로들의 계단 응답 65
실험 15 1차 회로들의 펄스 및 구형파 응답 72
실험 16 마이너스 실수축 극점들을 갖는 2차 회로의 계단 응답 78
실험 17 복소-공액 극점들을 갖는 2차 회로의 계단 응답 82
실험 18 사인파 응답과 리서쥬 도형 85
실험 19 사인파의 최대 전력 전달 조건과 실효값 90
실험 20 저역-통과 여파기와 고역-통과 여파기 94
실험 21 대역-통과 여파기(직-병렬 공진 회로) 100
실험 22 대역-저지 여파기 107
실험 23 전대역-통과 여파기 112
실험 24 변압기의 1차측 및 2차측 전압과 이들의 권선비 관계 118
실험 25 변압기를 이용한 임피던스 변환 122
실험 26 종속 전원이 포함된 회로망의 응답 126
실험 27 종속 전원이 포함된 회로망에서의 입력 및 출력 임피던스 129
실험 28 종속 전원이 포함된 회로망의 테브난 등가 회로와
노튼 등가 회로 136
실험 29 푸리에 급수를 이용한 파형 분석 141
실험 30 푸리에 급수의 회로 문제에의 응용 146


부 록

A 실험할 때 일반적인 유의 사항 152
1 실험전의 준비사항 152
2 실험 회로를 브레드보드상에 구성할 때의 주의 사항 152
3 실험중의 주의 사항 153
4 실험 보고서(Report) 작성 요령 153
5 측정값의 통계적 처리 요령 154
6 전기적인 양의 단위와 숫자의 표시 157
B 저항기의 종류와 저항값 판독법 159
C 커패시터의 종류와 커패시터값 판독법 168
D 인덕터의 종류와 인덕터값 판독법 176
E 변압기의 종류와 사용법 181
F 직류-전력 공급기 사용법 187
G 멀티미터 사용법 192
H 오실로스코프 사용법 202
I 함수 발생기 사용법 215
J PSPICE 사용법 226
K 실험 보고서 작성용 각종 그래프 287

실험 1





직류-전력 공급기와 멀티미터 작동법(전압, 전류, 그리고 저항 측정법)


1. 목적
1) 직류-전력 공급기(dc-power supply)와 멀티미터(multimeter)의 작동법을 실험을 통해 이해한다.
2)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전압, 전류, 그리고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을 각각의 실험을 통해
이해한다.

2. 기기 및 부품
기기 : 직류-전력 공급기, 멀티미터
부품 : 저항기 -

3. 회로(측정 시스템)










(a) (b)



자료출처 : http://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xid=a&kid=b&pk=11044420&sid=leesk55&key=



[문서정보]

문서분량 : 306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공학 다운로드 a++ 다운로드 기초회로실험의 모든 레포트 자료
파일이름 : [공학] [a++] 기초회로실험의 모든 레포트 자료.hwp
키워드 : 공학,a++,기초회로실험의,모든,레포트,자료,다운로드
자료No(pk) : 11044420

전기기사 자료등록 전기기사 기본 요약 노트 다운

전기기사 자료등록 전기기사 기본 요약 노트 다운



전기기사 자료등록 전기기사 기본 요약 노트

[전기기사] 전기기사 기본 요약 노트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1. 직류회로의 기본공식
①전류 : [C/sec], [A]
②전압 : [J/C]
③오옴의법칙 :
※ 오옴의법칙의 이해 : 저항 R을 가진 도체에 전류 [A]의 전류가 흐르면 항상 이도체(R 양단에는 만큼의 전압강하가 생긴다.
④저항의 연결
?직렬연결 [Ω]
?병렬연결 [Ω]
⑤전선의 저항 [Ω]
2. 기본교류회로 해석
①각속도(각주파수) [rad/sec]
②위상의 시간표현 에서 [sec]
③정현파 교류의 표현 로 표현하며 이값을 순시값이라 한다.
정현파교류는 실효값과 평균값으로 표현할수 있으며 다음과 같다.
?실효값
?평균값 로 구하여 표현한다.


파형
실효값
평균값
파형률
파고율
정현파


1.11
1.414
정현반파


1.57
2
삼각파


1.15
1.73
구형반파


1.41
1.41
구형파


1
1



④ 기본교류 회로소자의 응답

구분
직렬
임피던스
위상각
실효전류
위상
R-L



전류가 뒤진다.
R-C



전류가 앞선다.
R-L-C



L 이 크면 전류는 뒤진다
C 가 크면 전류는 앞선다.


구분
병렬
어드미턴스
위상각
실효전류
위상
R-L



전류가 뒤진다.
R-C



전류가 앞선다.
R-L-C



L 이 크면 전류는 뒤진다
C 가 크면 전류는 앞선다.


⑤ 브리지 평형조건 (서로 대각에 위치한 임피던스의 곱이 같으면 평형된다.)

3. 정현파 교류의 복소수 표현 (Phasor)
① 를 복소수로 나타내면 로 표시된다. 이는 극좌표 표현이며 이것을 직각좌표로 나타내면 가 된다.
※ 복소수를 이용하면 교회로 해석을 쉽고 빠르게 정확하게 해석할수 있다. 그러므로 복소수의 加減乘除(가감승제)를 정확히 할 필요가 있다.

4. 전력의 계산

종류
직렬회로
병렬회로
복소전력
피상전력




유효전력


무효전력




5. 최대전송전력의 계산

종류
조건
최대전력
그림


그림


그림




5. 유도결합회로(L의 연결)

구분
직렬
병렬
가동결합


차동결합



※ 결합계수 :
6. 공진회로


직렬공진
병렬공진
조건


공진의의미
허수부가 0이다.
전압과 전류가 동상이다.
역률이 1이다.
임피던스가 최소이다.
흐르는 전류가 최대이다.
허수부가 0이다.
전압과 전류가 동상이다.
역률이 1이다.
어드미턴스가 최소이다.
흐르는 전류가 최소이다.
전류


공진주파수


선택도
첨예도




7. 회로망 해석
① 중첩의 원리 : 회로망 내에 전압원 과 전류원이 여러개 존재하는 경우에 한 지로에 흐르는 전류는 이들의 전압원이나 전류원이 각각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의 전류의 분포를 겹친것과 같다. 이때 제거하는 전압원은 단락하고, 전류원은 개방한다.
※ 이상전인 전압원의 내부저항은 0 Ω이며 , 이상적인 전류원의 내부저항은 Ω이다.
② Thevenin 의 정리 (전압원 등가)
[A]
③ Norton 의 정리 (전류원 등가)
[A]
④ 밀만의 정리
[V]
⑤ 가역정리(상반의 정리) : 임의의 회로망에서 지로의 기전력 가 존재할 때 지로에 전류가 흐르고 , 지로에 가 존재할 때 지로에 의 전류가 흐른다면 의 관계가 성립한다.
⑥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은 선형, 비선형, 시변, 시불변에 구애를 받지 않고 적용된다.

8. 2단자망

구분
내용1
내용2
임피던스함수
임피던스를 구할 때 로 치환해서 계산한다.
-
영점
이 되는 S 의 근
회로의 단락상태
극점
가 되는 S 의 근
회로의 개방상태
정저항 회로


역회로
주파수와 무관한 정수




9. 4단자망



자료출처 : http://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xid=a&kid=b&pk=10975431&sid=leesk55&key=



[문서정보]

문서분량 : 11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전기기사 자료등록 전기기사 기본 요약 노트
파일이름 : [전기기사] 전기기사 기본 요약 노트.hwp
키워드 : 전기기사,기본,요약,노트,자료등록
자료No(pk) : 10975431

광운대 e러닝 음식과 세계문화족보.hwp 다운로드

 광운대 e러닝 음식과 세계문화족보.hwp 다운로드




광운대 e러닝 음식과 세계문화족보.hwp

광운대 e러닝 음식과 세계문화족보.hwp


1주차

키워드 : 식품, 역사, 인류

1. 음식과 역사(음식 : 생명과 건강유지의 근원)

`인류의 역사는 곧 식량개발의 역사이다.`

1)인류초기의 식문화

역사:생활사(한문으로 되어있음)
식생활은 인류의 기본생활이다. -초기인류 : `먹이를 찾는 것`ex) 사냥, 채집
레이 타나힐 : it is an obvious truth, all too forgotten, that food is not ony inseparable from the history of the human race, but basic to it. Without food there would be no human race, and no history.

인류의 역사 (음식을 찾는 행위는 유인원을 인원으로 변형시키는데 도움을 줌)

-400만년(지구의 생성연대 45억년 추정)
-오스트랄로피테쿠스(50만년 전) : 최초로 직립보행
-베이징원인 : 최초의 실제 인간 , 식사의 70%가 사슴고기, 최초로 불을 사용( 퀴즈1 불을 이용한 요리법을 최초로 사용한 인류는 A)베이징 원인)
-베이징원인-`네안데르탈인-`크로마뇽인
-네안데르탈인(BC75000~30000) : 예지인(homo sapiens), 얼굴형태가 현대인과 비슷, 진보된 생산수단을 발명, 훌륭한 사냥기술, 제의 의식, 원시적 요리법 개발, 원시적인 외과수슬, 식량부족시 인육섭취
-BC 11000(1만1년천)년경 빙하기가 끝남 : 기후가 온화해지고 인간, 동물, 식물들은 다시 환경에 적응하고 음식은 인간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함
-빙하기 50만의 원인(ape-man) -`BC10000년경 신석기 혁명 직전 예지인(homo sapiens) 300만 -`BC3000년경 세계인구 1억

1-1 기원전 10000년 이전의 식문화

인류의 수명 : 20~40세(50%이상이 20세에 사망)
식량획득 : 사냥, 어업, 식물채취
생활방식 : 소공동체나 씨족공동체 단위로 동굴생활
요리법

-날 것 섭취 -` 50만년경과 후 네안다르탈인 시기에 불을 사용한 요리법이 개발됨
-요리(cooking)에 의해 소화시킬 수 없었던 여러가지 식품을 섭취할 수 있음
-가열로 인한 섬유소의 분해, 단백질 및 당질 용해되어 맛과 영양적인 질의 향상
-` 따라서 인간 건강을 증진시키고 수명연장
-요리법은 토기의 발명(BC 6000년경)과 함께 추측가능 토기의 발명 : 국물 요리가능, 음식 다양해짐
꼬치구이(spit-roasting)
구덩이 요리법(pit cooking) : 구덩이+지열 이용 ex)항이(마오리족)
동물의 위(stomach bag) - 찜 그릇으로 사용 +술잔, 물컵
Carleton Coon(칼레톤 쿤) : 요리법의 도입은 원초적인 동물상태의 사람을 보다 완전한 인간으로 만드는 데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

인류
-음식을 공유 : 인류초기의 식문화는 벽화나 조개무지 등을 통해 짐작할 수 있음. 음식선택, 분배 및 섭취과정을 통해 도구의 발전 및 사회조직의 발전을 이룩해 옴

식량자원
-초식인(herbivore) : 열대지방
-육식인(carnivore) : 유목민, 추운지방
-잡식인(omnivore) : 온대지역

1-2 신석기 혁명(Neolithic revolution)과 식문화

원시적 수렵생활 -` 정착된 농경/가축생활 신석기 시대의 농경생활모습 사진보여줌(print 참고)

신석기혁명의 시기
-신석기시대 BC8000~BC2000년경 추정
-이 시기는 발견과 확장 그리고 파괴의 기간(물물교환, 점령 ...) : 현대문명의 기초를 쌓았던 기간

중심지역 : Caspian sea(카스피 해)
Central America(중앙 아메리카)로 추정하고 있음

정착지 : 야생곡식이 풍부하게 자라나는 들판에 자연발생적으로 마을 형성

고대의 곡류요리(Early



자료출처 : http://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xid=a&kid=b&pk=17041985&sid=leesk55&key=



[문서정보]

문서분량 : 32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광운대 e러닝 음식과 세계문화족보.hwp
파일이름 : 광운대 e러닝 음식과 세계문화족보.hwp
키워드 : 광운대,e러닝,음식과,세계문화족보,hwp
자료No(pk) : 17041985

만0세 2학기 부모상담일지 및 교사종합의견 8명 (부모면담일지,부모상담일지,개별면담일지)

  만0세 2학기 부모상담일지 및 교사종합의견 8명 (부모면담일지,부모상담일지,개별면담일지)   2학기상담.hwp 해당 자료는 해피레포트 유료 결제 후 열람 가능하며, 세일즈 링크를 통한 구매시 작성자에게 수수료가 지급됩니다. 분량 : 8 페이지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