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 자료실 화학 및 실험 - 미지시료의 양이온의 정성분석 보고서
자연과학 자료실 화학 및 실험 - 미지시료의 양이온의 정성분석
[자연과학] 화학 및 실험 - 미지시료의 양이온의 정성분석
미지시료의 양이온 ()의 정성분석
1. 실험목적: 수용액에서 금속의 산화-환원 반응과 침전 반응 등을 이용하여 을 정성분석하고 이를 통해 여러 종류의 이온평형을 이해한다.
2. 실험이론
`조사할 내용`
- 용해도 : (일정한 온도에서 용매 100g에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최대량으로 용질의 그람수로 나타낸다)
같은 용매에 녹이더라도 용질의 종류에 따라 녹을 수 있는 양은 서로 다르다. 또한 같은 용질이라도 용매의 종류에 따라 녹을 수 있는 양도 다르다. 또 온도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따라서 용해도를 알기 위해서는 `어떤 용매에`, `어떤 용질을`, `몇 도의 온도에서` 녹였는지를 고려해야 한다. 보통은 용매로서 물을 사용한다.
용해도는 보통 용매 100g에 대해 최대로 녹을 수 있는 용질의 그람수(g)로 나타낸다.예를 들어, 용질 A를 20℃에서 물 150g에 녹였더니 15g까지 녹고 그 이상을 넣으면 가라앉았다고 할 때, 용질 A의 20℃에서
15 : 150 〓 x : 100,
∴ x〓10,
따라서 용해도는 10이다.
또 만약 20℃에서 용해도가 20인 용질 B를, 20˚C에서 물에 최대한 많이 녹여 180g의 용액을 만들었다고 할 때, 물과 용질 B는 전체 용액 속에 각각 몇 그람씩 섞여 있는 것인지 알아보자.
물의 양을 x, 용질 B의 양을 y라 하면,
x + y 〓 180 -` x 〓 180 - y, (물의 양과 용질 B의 양을 합하면 180g)
20 : 100 〓 y : x -` 20 : 100 〓 y : 180 - y,
100y 〓 3600 - 20y,
∴ y 〓 30
따라서 물 130g에 용질 B 30g이 녹아있는 용액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용질을 용매에 직접 녹여가면서 용질의 용해도를 알아낼 수 있으며, 용해도를 알고 있는 용질의 경우 포화 용액 속에 용질이 몇 그람 포함되어 있는지도 계산해 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극성 용질은 극성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높고, 비극성 용질은 비극성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높다. 또 온도 뿐 아니라 압력에 의해서도 용해도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대기압에서의 용해도를 말한다.
- 를 포함한 다양한 이온성 화합물의 용해도
은이온
silver arsenate
silver bromide
silver carbonate
silver chloride
silver chromate
silver cyanide
silver iodate
silver iodide
silver oxalate
silver thiocyanate
카드뮴이온
cadmiun carbonate
cadmiun hydroxide
cadmiun oxalate
cadmiun surfide
납이온
Lead Hydroxid 노란색 적색
Lead carbonate
Lead chloride
Lead chromate
Lead iodide
Lead oxalate
Lead sulfate
Lead surfide
수은이온
Mercury Bromide(I)
Mercury carbonate(I)
Mercury chloride(I)
Mercury iodide(I)
Mercury thiocyanate
자료출처 : http://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xid=a&kid=b&pk=15022594&sid=leesk55&key=
[문서정보]
문서분량 : 6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자연과학 자료실 화학 및 실험 - 미지시료의 양이온의 정성분석
파일이름 : [자연과학] 화학 및 실험 - 미지시료의 양이온의 정성분석.hwp
키워드 : 자연과학,화학,실험,미지시료,양이온,정성,자료실,및,미지시료의,양이온의
자료No(pk) : 15022594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