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와 융의 이론을 다각적으로 비교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술하시오 레포트
프로이트와 융의 이론을 다각적으로 비교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술하시오
프로이트와 융의 이론을 다각적으로 비교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술하시오
인간행동과사회환경
프로이트와 융의 이론을 다각적으로 비교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술하시오
1. 프로이트와 융 이론의 공통점
1) 프로이트와 융은 둘 다 의식이 생겨나기 이전의 무의식의 존재를 확신했다는 점이 가장 큰 공통 사항이다. 또한 이 무의식은 인간의 사고 구조와 행동을 만드는데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의식적인 행동에는 늘 무의식의 크나큰 이면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2) 둘다 무의식은 현재 억압 상태에 놓여 있다고 바라보았다. 프로이트는 이 같은 억제의 원리에 착안하여 왜곡, 투사와 같은 또 다른 형태의 개념들을 제시했다. 왜곡이나 투사같은 용어는 융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억압의 상황은 왜곡된 결과들에 의해서 생겨난 그들의 무의식적 욕망의 형태, 바로 `꿈`과 같은 환유의 형태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3) 따라서 프로이트와 융 모두 `꿈` 해석을 통해서 자기 스스로의 좌절되고 억압된 욕망의 원인을 ...인간행동과사회환경
프로이트와 융의 이론을 다각적으로 비교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술하시오
1. 프로이트와 융 이론의 공통점
1) 프로이트와 융은 둘 다 의식이 생겨나기 이전의 무의식의 존재를 확신했다는 점이 가장 큰 공통 사항이다. 또한 이 무의식은 인간의 사고 구조와 행동을 만드는데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의식적인 행동에는 늘 무의식의 크나큰 이면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2) 둘다 무의식은 현재 억압 상태에 놓여 있다고 바라보았다. 프로이트는 이 같은 억제의 원리에 착안하여 왜곡, 투사와 같은 또 다른 형태의 개념들을 제시했다. 왜곡이나 투사같은 용어는 융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억압의 상황은 왜곡된 결과들에 의해서 생겨난 그들의 무의식적 욕망의 형태, 바로 `꿈`과 같은 환유의 형태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3) 따라서 프로이트와 융 모두 `꿈` 해석을 통해서 자기 스스로의 좌절되고 억압된 욕망의 원인을 찾아내려고 노력했다. 또 이 과정을 통해 정신적인 장애를 이겨낼 수 있는 `인지적 정신치료`의 원리를 고안하려고 했다.
2. 프로이트와 융 이론의 차이점
1) 프로이드는 개인적인 정신을 다룬 것에 반해, 융은 이를 넘어서서 인류 전체의 정신 문제에 집중하면서 집합적인 무의식을 인류 정신의 기반으로 봤다. 집합적인 무의식이란 인류 전체가 지니게 된 일종의 버릇을 말한다. 예를 들면 민족이나 인류가 공유하는 신화나 동화에서 볼 수 있는 꿈과 환상이 집합적인 무의식에 해당한다. 집합 무의식의 원형은 신이자 종교이자 참 자기이라고 할 수 있다. 정신 분열의 경우 의식과 무의식의 불일치에서 기인한다고 해석했다. 또 인간 의식의 원형은 자기 자신에 대한 통솔이며, 개인의 무의식은 갈등이라고 봤다. 융은 무의식 내에서의 모든 내용도 완전히 의식화시킬 것을 주장했는데, 의식에 무의식을 통합시켜 정신병까지도 이겨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2) 프로이트가 무의식을 맹목이고 무분별한 것으로 정의내리고 위험다고 판단한 데 비해, 융은 무의식의 위험성을 받아들이면서도 창조적이고 긍정적인 측면에 집중했다. 인간 무의식 세계의 일부가 집단적인 차원에서 창조적인 문화활동, 예를 들면 신화, 전설 등의 상징 세계를 만들어 내는 것으로 나아간다고 판단해서다.
3) 프로이트로부터 영향을 받은 융은 컴플렉스가 아동기 초기 외적인 체험에서 기인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융은 이에서 더 나아가 컴플렉스는 인간성 내에서 아동기 초기의 체험보다 더 깊숙한 곳에 있는 무엇인가에서 기인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 같은 미지의 세계에 이끌린 융은 또 다른 정신적 수준을 창안했는데 이것이 바로 `집합 무의식`이라는 정의다. 무의식은 단지 개인적인 것을 뛰어넘어 비개인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무의식은 그 보다 깊은 안쪽에 상대적으로 생명력을 가진 집합적인 내용을 안고 있다고 주장한 것이다.
4) 프로이트는 의식을 수면 위에 떠다니는 빙산의 일각이라고 했고, 무의식은 수면 아래 잠긴 나머지 부분이라 했다. 반면 융은 의식을 수면 위에 떠있는 섬이라고 했고 이 섬을 베외한 나머지 바다가 무의식이라고 했다. 융은 태고부터 전승된 경험이 인간에게 많은 영향을 준다고 했지만 프로이드의 경우 영유아기의 개인적인 체험이 일생 동안 되풀이 된다고 봤다.
5) 프로이트와 융의 가장 다른 점은 `꿈` 해석 방식에 있다. 프로이트의 동료이자 제자였던 융은 프로이트의 꿈 해석 방식에 이견을 갖게 되면서 둘은 결별하기도 했다. 융의 비판은 모든 사람들이 받아들이는 억압의 형태와 각자의 은유 방식이 다른 것이 확실한데, 이를 일정한 규정으로 획일화하는 것에 대한 반발이었다. 프로이트는 노년기로 갈수록 성적 욕망 이론에 집중하면서 이처럼 정형화된 은유의 틀을 만들어 꿈의 해석적 체계를 완성하려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수 많은 개인을 되려 대중 속 하나의 개체로만 취급해버리는 오류를 발생하기도 한 것이다. 또 프로이트의 해석 방법이 대부분 성적 원리라는 점에서도
자료출처 : https://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xid=a&kid=b&pk=18043428&sid=leesk55&key=
[문서정보]
문서분량 : 1 Page
파일종류 : TXT 파일
자료제목 : 프로이트와 융의 이론을 다각적으로 비교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술하시오
파일이름 : 프로이트와 융의 이론을 다각적으로 비교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술하시오.txt
키워드 : 프로이트와,융,이론,다각적,비교하고,공통점과,차이점,기술하시오,융의,이론을
자료No(pk) : 18043428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