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클로 기업분석및 마케팅 SWOT,STP,4P전략 제안보고서

 유니클로 기업분석및 마케팅 SWOT,STP,4P전략 제안보고서 레포트




유니클로 기업분석및 마케팅 SWOT,STP,4P전략 제안보고서

유니클로 기업분석및 마케팅 SWOT,STP,4P전략 제안보고서





1. 기업선정 이유 및 기업소개
기업선정 이유
최근 쇼핑 중심지, 번화가에서 쉽게 눈의 띄는 브랜드는 바로 대표적인 글로벌 SPA브랜드인 유니클로, 자라 그리고 H&M이다. 이들은 국내시장에 진입한 후, 무서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사실상 국내 시장을 호령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3대 글로벌 SPA 브랜드들의 국내 시장 매출액이 지난 5년간 77% 증가했다고 추산했다. 같은 기간 국내 패션업계의 매출액 성장률은 4.7%에 그쳤다. 이 3대 브랜드 중 특히 유니클로의 경우 국내에 진출한 SPA브랜드 중 매출액 1위로 2006년 300억이었던 매출액이 지난해 2500억원까지 증가했다. 전년 동기 대비 84.3%가 증가한 수치이다. 지난 2004년 이후부터는 한국의 롯데쇼핑과 일본의 패스트리테일링그룹이 공동투자해 설립한 합자회사인 FRL코리아를 통해 국내에서도 현재 60개가 넘는 매장을 보유하고...


1. 기업선정 이유 및 기업소개
기업선정 이유
최근 쇼핑 중심지, 번화가에서 쉽게 눈의 띄는 브랜드는 바로 대표적인 글로벌 SPA브랜드인 유니클로, 자라 그리고 H&M이다. 이들은 국내시장에 진입한 후, 무서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사실상 국내 시장을 호령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3대 글로벌 SPA 브랜드들의 국내 시장 매출액이 지난 5년간 77% 증가했다고 추산했다. 같은 기간 국내 패션업계의 매출액 성장률은 4.7%에 그쳤다. 이 3대 브랜드 중 특히 유니클로의 경우 국내에 진출한 SPA브랜드 중 매출액 1위로 2006년 300억이었던 매출액이 지난해 2500억원까지 증가했다. 전년 동기 대비 84.3%가 증가한 수치이다. 지난 2004년 이후부터는 한국의 롯데쇼핑과 일본의 패스트리테일링그룹이 공동투자해 설립한 합자회사인 FRL코리아를 통해 국내에서도 현재 60개가 넘는 매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아시아 최대규모의 매장을 명동에 오픈하면서 국내에서의 입지를 더욱 굳건히 하고 있다.
이처럼 놀라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유니클로는 어떠한 브랜드이며 성장동력은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시장에서의 경쟁적 우위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전략이 필요할지 알아보고자 유니클로를 선정하게 되었다.

기업소개
1.2.1 SPA 브랜드란
SPA는 ‘Specialty store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의 약자로, 자사의 라벨(브랜드)에 의해 상품의 기획 및 개발에서부터 생산과 판매 활동에 이르는 전 과정을 하나로 통합시켜 운영하는 프로세스라고 할 수 있다. ‘생산자-판매자(유통업체)-소비자’라는 전통적인 3단계 구조에서 ‘생산 및 판매 일체 그룹-소비자’라는 2단계 구조로 제품의 흐름 구조를 단순화 시키고, 이처럼 단순화된 구조로 인해 소비자 needs 및 유행의 변화를 제품 기획과 생산에 빠르게 반영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하여 패스트 패션(fast fashion)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빠른 속도를 유지하고 중저가의 가격경쟁력을 가능케 하기 위해 생산 및 유통단계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정보시스템과 효율적인 SCM 체제를 갖추어, 재고 수준을 최소화 하려는 특징을 가진다.

1.2.2 UNIQLO란
UNIQLO = Unique, Clothing Warehouse (독특하고 다양한 의류창고)
유니클로는 SPA 브랜드 중 하나로 독특하고 다양한 의류창고라는 뜻으로 페스트 리테일링사의 브랜드이다. “옷을 바꾸고 의식을 바꾸고 세계를 바꿔나간다”라는 모토를 중심으로 ‘시장수요를 제 때 파악하여 고객들이 편리하고 싼 값에 입을 수 있는 의류를 공급한다.’를 사업원칙으로 한다. 유니클로는 소품종 대량생산, 질이 높은 베이직 캐주얼 의류 브랜드이다.
1984년 6월 히로시마에 유니클로 1호점 개업한 뒤 1999년 도쿄증시 1부에 등장하면서 매출 1000억 엔을 돌파했으며 다시 10년만에 패스트리테일링의 회장인 야나이 다다시는 일본 최고의 부자가 될 정도로 성장하였다.

1.2.3 핵심이념
“패션이 아니라 기본을 판다”
SPA 브랜드의 대명사인 자라, H&M 등은 `패스트 패션` 브랜드로 불린다. 계절마다 유행하는 스타일을 재빨리 상품화하기 때문이다. 제작에서 판매까지 불과 2주에 끝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품질은 뒷전이다.
반면 유니클로는 가장 기본이 되는 캐주얼 아이템을 판다. 매년 계절마다 히트텍, 플리스 등 주력 상품을 선보이지만, 한번 입고 버리는 유행을 타는 제품이 아니어서 다음해 같은 계절에 다시 등장한다. 따라서 미리 품질 좋은 제품을 계획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니클로의 국내 합작법인인 FRL코리아의 마케팅팀 매니저는 `소재 등 품질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한 제품을 만드는 데 5개월 이상 걸린다`고 설명했다. 그 결과, `싸지만 싸구려가 아니다`는 이미지가 형성됐다.

“브랜드가 아닌 옷을 판다”
유니클로의 옷에는 웬만한 브랜드 옷에 붙어 있는 로고가 없다. 이는 유니클로는 브랜드를 앞세우지 않고 옷 자체에 집중하기 때문이다. `모든 사람을 위한 옷(made for all)`이라는 슬로건과도 관련 있다. 브랜드가 강조되면 그 브랜드가 집중하는 주된 연령층으로 고객이 한정된다. 하지만 브랜드가 드러나지 않으면 누구든지 마음에 들면 부담 없이 입을 수 있다. 그래서 유니클로 고객들은 바구니를 들고 같은 디자인의 티셔츠나 니트 등을 색상 별로 여러 벌씩 산다. 로고가 없어서 다른 브랜드 옷과 같이 입을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창업자인 야나이 다다시 회장은 `부품으로서 옷`을 강조해 왔다. 유니클로의 기본티셔츠나 바지에 다른 브랜드의 겉옷을 입거나 반대로 다른 브랜드의 티셔츠나 바지 위에 유니클로의 플리스 재킷을 입어도 전혀 이상하지 않고 잘 어울린다. 로고가 없다고 유니클로 옷에 브랜드 스타일이 드러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철저한 통일성과 일관성을 유지한다. 빨간 바탕에 하얀 글씨의 로고를 만든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사토 가시와가 매장 장식부터 상품 디자인까지 일관성을 총감독한다.

2. 상황분석
2.1외부분석 (5forces 이용)
2.1.1현재시장내의 경쟁(경쟁강도 강한 상태)
현재 포화상태인 캐주얼시장. 국내브랜드뿐만 아니라 갭 같은 수입업체들도 국내 캐주얼시장에 뛰어들어 경쟁심화를 부추기고 있다. 초기 캐주얼 의류시장은 소비자에게 중저가로 어필해 구매를 유도했다면, 최근의 캐주얼 시장은 서브브랜드를 출시하여 중고가로 가격정책을 변화시켜 브랜드가치를 높이려 하는 등의 전략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경쟁 정도가 높다.

2.1.2공급자교섭력(낮은 상태)
도쿄, 뉴욕, 파리, 밀라노에 배치된 R&D센터에서 세계 각 도시의 정보나 거래처로부터 트렌드, 니즈등의 정보를 수집해 이를 바탕으로 네 개 도시에서 동시에 디자인을 결정하여 각국의 시장에 맞추어 상품을 구성한다.
또, 생산 위탁공장의 품질향상 및 생산율 개선을 도모하고자 상하이, 신천, 호치민 사무소에 본사 베테랑 기술자를 파견하



자료출처 : https://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xid=a&kid=b&pk=15052204&sid=leesk55&key=



[문서정보]

문서분량 : 20 Page
파일종류 : DOCX 파일
자료제목 : 유니클로 기업분석및 마케팅 SWOT,STP,4P전략 제안보고서
파일이름 : 유니클로 기업분석및 마케팅 SWOT,STP,4P전략 제안보고서.docx
키워드 : 유니클로,기업,마케팅,SWOT,STP,P전략,제안,기업분석및,4P전략,제안보고서
자료No(pk) : 15052204

댓글 없음:

댓글 쓰기

만0세 2학기 부모상담일지 및 교사종합의견 8명 (부모면담일지,부모상담일지,개별면담일지)

  만0세 2학기 부모상담일지 및 교사종합의견 8명 (부모면담일지,부모상담일지,개별면담일지)   2학기상담.hwp 해당 자료는 해피레포트 유료 결제 후 열람 가능하며, 세일즈 링크를 통한 구매시 작성자에게 수수료가 지급됩니다. 분량 : 8 페이지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