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 글쓰기와 토론 2013 2학기 중간 족보.hwp 다운로드
인하대 글쓰기와 토론 2013 2학기 중간 족보.hwp
인하대 글쓰기와 토론 2013 2학기 중간 족보.hwp
주의사항
컴퓨터용 사인펜으로 마킹할 것. 기타 다른 펜으로 마킹할 경우 0점 처리.
부정행위 방지를 위하여 주관식 답안은 볼펜으로 기입하며, 연필이나 수정펜 사용금지.
1. 다음은 초등학교 6학년생의 글이다. 이 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난 참 불만스럽다. 막내로 태어나서 잔심부름은 완전히 내 담당이 되었다. 처음에는 잘하다가 너무 많이 시키면 화를 낸다. 하지만 결국은 내가 다시 혼난다. 특히 난 밥 먹을 때 심부름을 시키는 게 제일 싫다. 옛 속담에 “밥 먹을 땐 개도 안 건드린다”고 하던데, 난 언제나 잔심부름꾼이다.
하지만 난 우리 집에서 내가 사랑을 제일 많이 받는다. 그래서 사랑 받는 만큼 불만하지 않고 심부름을 시키면 잘 해야겠다.
① 비슷한 어구의 반복을 통해 운율을 만들고자 하는 작위가 엿보인다.
② 첫째 단락은 돋보이는 말재주에도 불구하고 글쓴이의 진솔한 감정을 감추고 있다.
③ 두 번째 단락에는 남에게 잘 보이기 ...
주의사항
컴퓨터용 사인펜으로 마킹할 것. 기타 다른 펜으로 마킹할 경우 0점 처리.
부정행위 방지를 위하여 주관식 답안은 볼펜으로 기입하며, 연필이나 수정펜 사용금지.
1. 다음은 초등학교 6학년생의 글이다. 이 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난 참 불만스럽다. 막내로 태어나서 잔심부름은 완전히 내 담당이 되었다. 처음에는 잘하다가 너무 많이 시키면 화를 낸다. 하지만 결국은 내가 다시 혼난다. 특히 난 밥 먹을 때 심부름을 시키는 게 제일 싫다. 옛 속담에 “밥 먹을 땐 개도 안 건드린다”고 하던데, 난 언제나 잔심부름꾼이다.
하지만 난 우리 집에서 내가 사랑을 제일 많이 받는다. 그래서 사랑 받는 만큼 불만하지 않고 심부름을 시키면 잘 해야겠다.
① 비슷한 어구의 반복을 통해 운율을 만들고자 하는 작위가 엿보인다.
② 첫째 단락은 돋보이는 말재주에도 불구하고 글쓴이의 진솔한 감정을 감추고 있다.
③ 두 번째 단락에는 남에게 잘 보이기 위한 글쓰기의 강박이 엿보인다.
④ 두 단락은 각각 개인의 체험과 거기에서 얻은 교훈으로 구성되어 있어 글로서의 통일성을 갖추고 있다.
2. 다음 글에서 가장 중요하게 지적된 글쓰기의 원칙은
논쟁에서 가장 중요한 일은 상대의 견해를 정확하게 독해하는 것이다. 쌍방향 소통에서는 ‘경청’하는 예의가 필요하다. 상대의 부주의한 실수라든지 작은 오류 같은 지엽(枝葉)을 물고 늘어질 게 아니라 본의를 헤아리는 성숙한 태도를 보여야 할 것이다. 대화를 통한 변화가 아니라 상대를 이겨서 제압하겠다는 목적을 앞세운 글쓰기는 ‘공공의 적’이라 할 만하다. 침소봉대(針小棒大), 견강부회(牽强附會), 아전인수(我田引水) 같은 말들이 어떤 경우에 쓰이는지 곰곰이 새겨볼 일이다.
① 정보왜곡이 있어서는 안 된다.
② 언어폭력이 가해져서는 안 된다.
③ 표절행위를 엄격히 규제해야 한다.
④ 연구윤리를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3. 문제해결을 위한 글쓰기 과정에서 첫 단계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인가
① 주제의 설정 ② 문제의 발견 ③ 구성 ④ 전개
4. 다음 중 문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문단은 생각의 최소 단위로 구성되어야 한다.
② 하나의 문단은 첫 칸을 비우고 새 행으로 시작된다.
③ 주제문이 명백히 드러나지 않는 문단도 있다.
④ 주제문은 문단의 맨 앞에 오도록 써야 한다.
5. 글의 주제를 설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① 필자가 잘 알고 있는 주제를 잡는 것이 좋다.
② 한정된 좁은 주제보다는 보다 넓은 주제를 택하는 것이 좋다.
③ 소수의 독자만 읽게 될 글이라면 주제를 굳이 정할 필요가 없다.
④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주제를 잡아 독자의 시선을 사로잡아야 한다.
6. 주제문을 작성할 때의 주의할 점을 바르게 지적한 것은
① 주제문은 제재의 한정된 국면에 맞추어 참주제문으로 작성되는 게 좋다.
② 주제문은 객관적이어야 하므로 필자의 관점을 드러내지 않는 게 좋다.
③ 주제문은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자명한 사실이나 법칙을 보여주는 게 좋다.
④ 주제문은 독자로 하여금 문제에 대한 호기심을 가질 수 있도록 의문문으로 작성하는 게 좋다.
7. 다음 문장의 잘못을 정확하게 지적한 것은
이 말은 작품에 대한 그의 신념을 반영하고 있으며, 낭만주의 작가로서 그의 기본 자세를 엿볼 수 있다.
① 서술어의 누락
② 이중 주어의 사용
③ 적절치 못한 주제어의 위치
④ 동일하지 않은 격의 접속
8. 다음 글의 갈등 상황에 대한 인식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국유림 내에 자생하는 도토리, 상수리, 산나물, 버섯 등을 채취하는 행위에 대해 인근 주민, 동물애호가, 일반 시민들의 이해가 상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근 주민들은 그간 국유림 내의 동식물을 수렵 채취하는 등의 일을 생업으로 삼아왔으며, 그곳에서 일상생활을 하는 자신들의 권리가 박탈당하면 생계를 잃게 된다는 점을 주장하고 있다. 반면 환경운동가들은 지
자료출처 : http://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xid=a&kid=b&pk=17042164&sid=leesk55&key=
[문서정보]
문서분량 : 4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인하대 글쓰기와 토론 2013 2학기 중간 족보.hwp
파일이름 : 인하대 글쓰기와 토론 2013 2학기 중간 족보.hwp
키워드 : 인하대,글쓰기와,토론,학기,중간,족보,hwp,2013,2학기
자료No(pk) : 17042164
댓글 없음:
댓글 쓰기